카지노 확률 공개 ㉻ 실실시간카지노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25-11-27 04:35 조회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23.rtf423.top
0회 연결
-
http://37.rcw939.top
0회 연결
본문
온카지노검증 ㈖ 바카라 예측기 PC ┃
릴게임끝판왕 바로가기 go !!
대덕연구개발특구. 연합뉴스 제공
과학자들이 과학기술 분야 연구기관의 이름을 정하는 일에서는 창의성이나 개방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정부가 운영하는 연구기관의 이름은 놀라울 정도로 실망스럽다.
연구기관의 전문 분야가 반드시 이름에 반영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연구기관의 이름에는 반드시 힉문 ‘영역’이 포함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한국화학연구원’은 자신들의 독점적 고유 영역이라고 여기는 화학 소재를 연구하는 ‘재료연구소’의 등장을 반기지 않는다.
분야의 앞에 붙이는 수식어도 극도로 경직되어 있었 릴게임황금성 다. 과거에는 ‘한국’이 대세였다. 영어로는 ‘Korea’나 ‘National’로 썼다. 그래서 1966년 이후에 설립된 출연연구기관은 예외없이 모두 ‘한국’이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한국화학연구원’(KRICT) 등이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름에 ‘한국’이 들어가지 않으면 기관의 격(格)이 떨어지는 것으로 여겼다.
릴박스 민간이 설립하는 학술단체들은 ‘한국’과 ‘대한’을 좋아했다. 그래서 화학회는 ‘대한화학회’가 됐고 물리학회는 ‘한국물리학회’가 되었다. 물론 ‘대한’(大韓)을 사용하는 학술단체가 ‘한국’(韓國)을 사용하는 학술단체보다 규모가 더 크거나 위상이 더 높았던 것은 아니다. 창립 당시의 회원들이 임의적·자의적으로 선택했을 뿐이다.
● 퇴행적 ‘ 바다이야기사이트 국가주의’의 등장?
요즘은 ‘국가’가 대세다. 실제로 인공지능(AI) 3대 강국 건설을 추진하는 정부가 ‘국가AI컴퓨팅센터’와 ‘국가AI연구소’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광주시가 GPU(그래픽처리장치)보다 최대 100배나 더 효율적이라는 NPU(신경망처리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NPU컴퓨팅센터’를 세우겠다는 야심 찬 계획도 손오공게임 내놓았다.
인공지능 분야에서만 ‘국가’가 유행하는 것이 아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국가’의 유행은 2000년에 문을 연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2005년에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가 등장했고 2013년에는 ‘국가기술표준원’(KATS)이 그리고 2014년에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IST)가 문을 열었다 바다신2 다운로드 .
지난 3월에는 ‘안전성평가연구소’가 ‘국가독성과학연구소’(KIT)로 변신했다. 기상청도 ‘국가’를 좋아한다. ‘국가기성위성센터’도 있고 ‘국가태풍센터’도 있다.
그렇다고 누구나 ‘국가’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2007년에 설립된 ‘국가핵융합연구소’는 규모가 커지면서 오히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으로 오히려 퇴화(退化)해 버렸다. 출연연구기관 이름의 유행에 관한 한 그랬다는 뜻이다.
물론 ‘국가’의 유행이 과학기술 분야에만 한정된 것도 아니다. 사실 ‘중앙정보부’에서 시작해서 ‘국가안전기획부’(1981)로 변했던 ‘국가정보원’(1999)이 모든 ‘국가’ 기관의 원조인 것으로 보인다. 1985년에는 ‘국가보훈처’가 등장했고 2001년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문을 열었다. 2024년에는 ‘문화재청’이 ‘국가유산청’으로 변신했다.
그런데 ‘국가’에서는 상쾌한 기운이 느껴지지 않는다. 오히려 자유와 창의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현대 과학에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권위적이고 퇴행적인 ‘국가주의’와 ‘전체주의’의 고약한 기운이 느껴진다. 혹시 이름에서 ‘국가’를 떼버리면 당장이라도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 높이 훨훨 날아오르는 기적이 펼쳐지지 않을까? 물론 그것이 필자의 별난 착각일 수는 있다.
● 이름의 경직된 틀에서 벗어나 보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경북 경주시 감포읍에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건설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산하의 분원으로 대전의 본원에서 기초연구 차원에서 추진하던 혁신형 미래 원전 연구개발의 상당 부분을 떠맡을 예정이다. 기초연구를 넘어 실증과 산업화 단계까지 포괄하는 전(全) 주기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원자력 관련 연구와 궤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소형모듈원전(SMR)과 핵추진 선박용 초소형 원전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문무대왕과학연구소’라는 이름이다. ‘제2의 원자력연구원’이지만 이름에서는 ‘원자력’을 찾아볼 수 없다. 경직된 이름짓기 관행을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이름이다. 아득한 역사 속의 ‘문무대왕’을 들먹이면서 미래를 지향하겠다는 의지가 신선하다. ‘과학’까지 포기해 버렸더라면 훨씬 더 나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진하게 남는다.
이 기회에 출연연구원의 경직된 이름을 획기적으로 바꿔볼 것을 제안하고 싶다. 실제로 연구원의 이름에 박아놓은 ‘분야’는 스스로 절대 벗을 수 없는 족쇄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영원히 ‘지질학’과 ‘자원 연구’에 갇혀 버렸다. 분야를 명시하는 관행을 포기하고 나면 한국화학연구원과 한국재료연구원이 연구개발의 영역을 두고 서로 샘을 내야 할 이유도 없어져 버린다.
사실 ‘수리과학’이 ‘국과적 과제’일 수도 없는 일이고 ‘국가’가 ‘수리과학’을 좌지우지해야 할 이유도 없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전자통신’ 기술을 언제까지나 ‘한국’의 틀에 가둬놓을 이유도 없다. 미국과 일본이 ‘우주’와 ‘항공’을 함께 연구한다고 우리도 반드시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운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에는 ‘유럽우주청’(European Space Agency)이 있을 뿐이다.
‘한국’이라는 수식어가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다. 우리의 고유한 향기가 물씬 풍기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는 굳이 ‘한국’이라는 군더더기를 덧붙일 이유가 없다. ‘한국’을 강조할 수밖에 없는 것은 연구기관의 이름에 분야를 나타내는 일반명사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K-향기가 풍기는 고유한 이름을 찾아내면 훨씬 더 자유로운 날갯짓이 허용된다.
실제로 ‘파스퇴르연구소’와 ‘막스플랑크연구소’가 어느 나라의 연구소인지는 누구나 알고 있다. ‘로스알라모스연구소’와 ‘로렌스 버클리연구소’도 마찬가지다. 이름에 연구 분야가 밝혀져 있지 않다고 해서 연구소의 정체성을 혼란스러워하지도 않는다.
굳이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는 ‘국가과학자’를 선정한다고 야단법석을 떨 이유가 없다. 훌륭한 업적을 남긴 과학자의 이름을 활용하면 사회가 요구하는 과학자의 롤모델까지 함께 제시해줄 수 있다는 뜻이다.
언제나 기관의 이름을 통해서 그 기관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밝혀줘야 하는 것도 아니다. 일반 학생보다 학습 능력이 뛰어난 영재를 가르친다는 ‘영재학교’의 경우가 그렇다. 이름에 영재가 들어있지 않은 일반 학교의 학생들은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게 된다.
영재를 가르치는 학교라는 사실을 굳이 이름을 통해 강조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영재’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하버드대학’에는 뛰어난 학생들만 모여든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모든 연구기관에 정형화·규격화된 틀에 갇힌 이름을 붙여야 할 이유가 없다. 세월이 흐르면 출연연의 정체성도 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열어줘야 한다. 연구기관의 이름에서부터 우리의 과학적 창의성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만들자는 뜻이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 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3200여 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우리 몸을 만드는 원자의 역사》《질병의 연금술》《지금 과학》을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duckhwan@sogang.ac.kr ] 기자 admin@reelnara.info
과학자들이 과학기술 분야 연구기관의 이름을 정하는 일에서는 창의성이나 개방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정부가 운영하는 연구기관의 이름은 놀라울 정도로 실망스럽다.
연구기관의 전문 분야가 반드시 이름에 반영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연구기관의 이름에는 반드시 힉문 ‘영역’이 포함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한국화학연구원’은 자신들의 독점적 고유 영역이라고 여기는 화학 소재를 연구하는 ‘재료연구소’의 등장을 반기지 않는다.
분야의 앞에 붙이는 수식어도 극도로 경직되어 있었 릴게임황금성 다. 과거에는 ‘한국’이 대세였다. 영어로는 ‘Korea’나 ‘National’로 썼다. 그래서 1966년 이후에 설립된 출연연구기관은 예외없이 모두 ‘한국’이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한국화학연구원’(KRICT) 등이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름에 ‘한국’이 들어가지 않으면 기관의 격(格)이 떨어지는 것으로 여겼다.
릴박스 민간이 설립하는 학술단체들은 ‘한국’과 ‘대한’을 좋아했다. 그래서 화학회는 ‘대한화학회’가 됐고 물리학회는 ‘한국물리학회’가 되었다. 물론 ‘대한’(大韓)을 사용하는 학술단체가 ‘한국’(韓國)을 사용하는 학술단체보다 규모가 더 크거나 위상이 더 높았던 것은 아니다. 창립 당시의 회원들이 임의적·자의적으로 선택했을 뿐이다.
● 퇴행적 ‘ 바다이야기사이트 국가주의’의 등장?
요즘은 ‘국가’가 대세다. 실제로 인공지능(AI) 3대 강국 건설을 추진하는 정부가 ‘국가AI컴퓨팅센터’와 ‘국가AI연구소’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광주시가 GPU(그래픽처리장치)보다 최대 100배나 더 효율적이라는 NPU(신경망처리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NPU컴퓨팅센터’를 세우겠다는 야심 찬 계획도 손오공게임 내놓았다.
인공지능 분야에서만 ‘국가’가 유행하는 것이 아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국가’의 유행은 2000년에 문을 연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2005년에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가 등장했고 2013년에는 ‘국가기술표준원’(KATS)이 그리고 2014년에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IST)가 문을 열었다 바다신2 다운로드 .
지난 3월에는 ‘안전성평가연구소’가 ‘국가독성과학연구소’(KIT)로 변신했다. 기상청도 ‘국가’를 좋아한다. ‘국가기성위성센터’도 있고 ‘국가태풍센터’도 있다.
그렇다고 누구나 ‘국가’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2007년에 설립된 ‘국가핵융합연구소’는 규모가 커지면서 오히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으로 오히려 퇴화(退化)해 버렸다. 출연연구기관 이름의 유행에 관한 한 그랬다는 뜻이다.
물론 ‘국가’의 유행이 과학기술 분야에만 한정된 것도 아니다. 사실 ‘중앙정보부’에서 시작해서 ‘국가안전기획부’(1981)로 변했던 ‘국가정보원’(1999)이 모든 ‘국가’ 기관의 원조인 것으로 보인다. 1985년에는 ‘국가보훈처’가 등장했고 2001년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문을 열었다. 2024년에는 ‘문화재청’이 ‘국가유산청’으로 변신했다.
그런데 ‘국가’에서는 상쾌한 기운이 느껴지지 않는다. 오히려 자유와 창의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현대 과학에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권위적이고 퇴행적인 ‘국가주의’와 ‘전체주의’의 고약한 기운이 느껴진다. 혹시 이름에서 ‘국가’를 떼버리면 당장이라도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 높이 훨훨 날아오르는 기적이 펼쳐지지 않을까? 물론 그것이 필자의 별난 착각일 수는 있다.
● 이름의 경직된 틀에서 벗어나 보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경북 경주시 감포읍에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건설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산하의 분원으로 대전의 본원에서 기초연구 차원에서 추진하던 혁신형 미래 원전 연구개발의 상당 부분을 떠맡을 예정이다. 기초연구를 넘어 실증과 산업화 단계까지 포괄하는 전(全) 주기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원자력 관련 연구와 궤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소형모듈원전(SMR)과 핵추진 선박용 초소형 원전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문무대왕과학연구소’라는 이름이다. ‘제2의 원자력연구원’이지만 이름에서는 ‘원자력’을 찾아볼 수 없다. 경직된 이름짓기 관행을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이름이다. 아득한 역사 속의 ‘문무대왕’을 들먹이면서 미래를 지향하겠다는 의지가 신선하다. ‘과학’까지 포기해 버렸더라면 훨씬 더 나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진하게 남는다.
이 기회에 출연연구원의 경직된 이름을 획기적으로 바꿔볼 것을 제안하고 싶다. 실제로 연구원의 이름에 박아놓은 ‘분야’는 스스로 절대 벗을 수 없는 족쇄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영원히 ‘지질학’과 ‘자원 연구’에 갇혀 버렸다. 분야를 명시하는 관행을 포기하고 나면 한국화학연구원과 한국재료연구원이 연구개발의 영역을 두고 서로 샘을 내야 할 이유도 없어져 버린다.
사실 ‘수리과학’이 ‘국과적 과제’일 수도 없는 일이고 ‘국가’가 ‘수리과학’을 좌지우지해야 할 이유도 없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전자통신’ 기술을 언제까지나 ‘한국’의 틀에 가둬놓을 이유도 없다. 미국과 일본이 ‘우주’와 ‘항공’을 함께 연구한다고 우리도 반드시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운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에는 ‘유럽우주청’(European Space Agency)이 있을 뿐이다.
‘한국’이라는 수식어가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다. 우리의 고유한 향기가 물씬 풍기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는 굳이 ‘한국’이라는 군더더기를 덧붙일 이유가 없다. ‘한국’을 강조할 수밖에 없는 것은 연구기관의 이름에 분야를 나타내는 일반명사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K-향기가 풍기는 고유한 이름을 찾아내면 훨씬 더 자유로운 날갯짓이 허용된다.
실제로 ‘파스퇴르연구소’와 ‘막스플랑크연구소’가 어느 나라의 연구소인지는 누구나 알고 있다. ‘로스알라모스연구소’와 ‘로렌스 버클리연구소’도 마찬가지다. 이름에 연구 분야가 밝혀져 있지 않다고 해서 연구소의 정체성을 혼란스러워하지도 않는다.
굳이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는 ‘국가과학자’를 선정한다고 야단법석을 떨 이유가 없다. 훌륭한 업적을 남긴 과학자의 이름을 활용하면 사회가 요구하는 과학자의 롤모델까지 함께 제시해줄 수 있다는 뜻이다.
언제나 기관의 이름을 통해서 그 기관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밝혀줘야 하는 것도 아니다. 일반 학생보다 학습 능력이 뛰어난 영재를 가르친다는 ‘영재학교’의 경우가 그렇다. 이름에 영재가 들어있지 않은 일반 학교의 학생들은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게 된다.
영재를 가르치는 학교라는 사실을 굳이 이름을 통해 강조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영재’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하버드대학’에는 뛰어난 학생들만 모여든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모든 연구기관에 정형화·규격화된 틀에 갇힌 이름을 붙여야 할 이유가 없다. 세월이 흐르면 출연연의 정체성도 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열어줘야 한다. 연구기관의 이름에서부터 우리의 과학적 창의성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만들자는 뜻이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 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3200여 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우리 몸을 만드는 원자의 역사》《질병의 연금술》《지금 과학》을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duckhwan@sogang.ac.kr ] 기자 admin@reelnara.info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